꽃의 기록(61)
-
아로니아 - 효능,섭취방법과 번식,관리 총정리
봄에는 예쁜꽃과 여름이면 검붉은 열매가 매력적인 아로니아에요. 블랙베리 또는 초코베리라고 불리지요. 병충해도 거의 없어 키우기도 쉬운 아로니아. 오늘은 아로니아에 대힌 전반적인 정보 알아볼께요.아로니아 어원 아로니아(Aronia)는 주로 북미와 유럽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영어로는 "chokeberry"라고 불립니다. 아로니아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아로니아(αρώνια)'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도토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아로니아 열매가 도토리처럼 작고 둥글며, 검붉은 색을 띠는 것에서 기인한 것입니다.아로니아의 꽃과 잎, 열매의 특징-영양성분,효능,섭취방법 #꽃 아로니아는 봄에 아름다운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의 꽃을 피웁니다. 이 꽃들은 약 10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향기가 좋고 벌과 나비를..
2024.07.25 -
올라야 꽃의 어원, 꽃말과 번식,관리방법
꽃송이 속에 작은 꽃송이 들이 마치 레이스 같아 레이스꽃이라고도 불리는 올라야. 우연히 동네 카페에서 처음 본 올라야꽃. 정원에 키우고 싶어 사장님께 이름을 물어보니 ‘올라야’라고 하시더라구요. 바로 검색해서 씨앗을 구매하고 봄에 씨앗 파종해서 번식 시켰어요. 잘 관리하면 내년에는 좀 더 풍성한 무리를 이룰거에요. 오늘은 이름도 예쁘고 꽃송이도 예쁜 올라야를 알아봅니다.올라야의 어원 1. '올라'와 '야'의 결합 - '올라'는 '오르다'의 옛 형태에서 온 것으로, 땅에서부터 하늘로 향해 자라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야'는 감탄사로, 식물의 성장과 개화 과정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올라야'라는 표현은 이 꽃이 자라나는 과정을 감탄하며 바라보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2. 성장 과정의 특징 - ..
2024.07.23 -
맥문동의 효능과 꽃말, 섭취 방법까지 알아보기
여름날의 정원, 산책길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맥문동이에요. 맥문동의 꽃을 보기 전까지는 큰 매력을 못 느꼈었는데요, 우연히 공원에서 보라색 꽃들이 만발한 맥문동을 보고는 한 눈에 반했습니다. 정원에 잡초관리도 알아서 해주는 맥문동을 3년에 걸쳐 100포트씩 정원에 심고 있어요. 모종을 심고 한 해를 보내고 그 해 봄이면 세력을 키우며 잡초가 자랄 틈도 없이 땅을 가득 채웁니다. 관리성의 용이함과 강한 생명력의 매력이 가득한 맥문동. 오늘은 맥문동에 대해 알아봅니다.맥문동의 어원 맥문동(맥문동)은 한자 '麥門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맥(麥)'은 보리를, '문(門)'은 문을, '동(冬)'은 겨울을 의미합니다. 즉, 보리의 문을 열고 겨울을 맞이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이름입니다. 맥문동은 중국의 고대 약용 ..
2024.07.19 -
무궁화 - 어원, 꽃과 잎의 특징, 번식, 관리, 무궁화뿌리효능,꽃말 정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한 번 쯤은 해봤을 놀이와 노래가 있지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어렸을 때 친구들과 동네 골목에서 한창 놀았던 기억이 납니다. 무궁화가 국화임에도 불구하고 가까이에서 무궁화를 볼 수 있는 기회는 없었던 것 같아요. 이름은 익숙하지만 우리의 일상과의 거리는 조금 먼 듯한 무궁화. 오늘은 무궁화에 대해 알아봅니다.무궁화 어원 무궁화는 '무궁하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무궁화가 끊임없이 피고 지는 꽃으로서, 끝없는 생명력과 지속성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서 오랜 시간 동안 사랑받아왔으며, 그 이름 자체가 영원한 아름다움과 강인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무궁화 꽃과 잎의 특징 # 꽃의 특징 무궁화의 꽃은 여름철에 피며, 보통 7월부터 10월까지 개화합니다...
2024.07.17 -
라임라이트수국 - 재배법, 관리 팁 및 아름다운 정원 만들기
고깔모양의 형태, 시원한 색감이 예쁜 라임라이트 수국이 한창이에요. 꽃송이가 너무나 탐스러워요. 오늘은 이 탐스러운 라임라이트 수국에 대해 알아볼께요.라임라이트수국의 어원 라임라이트(limelight)라는 단어는 원래 연극 무대에서 사용된 조명 기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9세기 중반, 무대에서 칼슘 산화물을 사용해 강렬한 빛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 빛이 매우 밝아서 배우들이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이 기술의 이름이 바로 '라임라이트'였습니다. 따라서 라임라이트는 주목을 받거나 중심에 서게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특히 화려한 꽃이 주목을 받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라임라이트 수국 꽃과 잎의 특징 라임라이트는 주로 수국의 한 종류인 '라임라이트 수국(Hydran..
2024.07.17 -
수크령-“자생하는 한국의 습지 식물에 대해 알아보기"
시원스럽게 뻗은 잎과 보들한 이삭이 참 매력적이지요. 도자예술마을(Ye’s park) 에는 하천을 따라 그라스들이 품종별로 식재가 되어있어요. 출근길에 사진으로 담아보았어요. 독특한 이름을 가진 ’수크령‘ , 오늘은 수크령에 대해 알아봅니다.수크령 어원 수크령의 어원은 그리 명확하지 않으나, 한자 표기와 관련된 설명이 있습니다. "수크령"이라는 이름은 한자로 "水그령"으로 표기되며, 여기서 "수(水)"는 물을 의미하고, "그령"은 잔디나 풀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수크령은 물가에 자라는 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그령'이라는 이름은 풀의 일종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다른 여러 종류의 풀에도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수크령'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물가에 자라는..
2024.07.15